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IV가 당뇨병처럼 만성질환이라고? : HIV에 대한 대표적 오해와 진실

by rimhi 2025. 1. 30.
반응형

저는 유튜브를 즐겨보지는 않지만, 가끔 들어가서 관심 있는 내용에 대해서 보곤 하는데요.

최근에 좀 충격적이고, 흥미로운 내용을 보게 돼 이렇게 가져와봤습니다.


HIV라고 아시나요?

제가 생각하는 HIV는 '감염되면 죽는다.'라는 바이러스였습니다.

하지만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이제는 죽음의 병이 아닌, 만성 질환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단계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HIV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와 사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HIV는 죽음의 바이러스이다?

30년 전까지만 해도 HIV 감염은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입니다.

HIV 치료 과학이 발전하면서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평균 수명을 유지하며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즉, 현재는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누구도 HIV 자체로는 사망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2. HIV와 AIDS는 같다?

결론은 HIV 감염 자체는 AIDS가 아닙니다.

HIV는 인체에 침입한 후 8~10년 동안 면역력을 점진적으로 저하시킵니다.

이로 인해 건강한 사람에게는 무해한 균들이 질병이나 암을 유발하는 단계가 AIDS(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입니다.

 

3. HIV는 동성애와 관련이 있다?

1981년 미국에서 처음 HIV가 보고될 당시, 주로 동성애자 남성에게서 발견되면서 사회적 낙인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HIV는 성관계, 혈액, 모유 수유 등을 통해 전파되며, 성적 지향과 관계없이 누구나 감염될 수 있습니다.

함께 식사하거나 포옹, 대화 중 침이 튀는 것 등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절대 감염되지 않습니다.


위에서 HIV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에 대한 내용들을 다뤄봤습니다.

 

어떠신가요? 

저는 제가 알던 내용들과 너무 달라서 놀랐습니다.

현재는 약 한 알만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평생 미검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고,

바이러스 미검출 상태가 되면 파트너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지도 않는다고 합니다! 너무 놀랍지 않나요?

 

그래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HIV 검사와 치료방법, 예방법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